오늘은 무전극 램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무전극 램프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.
1) 구조 및 특성
무전극 램프는 기존의 램프와 다르게 가스가 봉입된 벌브 내부에 전극(필라멘트, 발광관)이 없는 대신 외부에 페라이트 코어가 장치된 램프로서, 이 페라이트 코어에 고주파 스위칭(250kHz)이 가능한 특수 인버터(무전극램프용 전자식 안정기)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면 램프에 자계가 발생하여 벌브 내부의 봉입 가스를 여기 시켜 발광이 되는 원리로써 장수명, 고효율, 고 연색성의 광원이다.
삼파장 형광물질 도포전자/이온 플라스마 커버 유도 코일 전자 장치

1990년대 초에 상품화된 이후, 전용 점등 장치로 초기 시스템 효율 64~76 [Im/W], 수명 60,000시간에 달하는 55~165W급 제품이 상품도 되어 있다. 광속 감퇴에 따른 램프의 평균 광속은 초기의 80% 정도로, 이에 따른 평균 시스템 효율은 조금 낮아져 50~60 [Im/W]에 달한다. 또한 점등 장치가 내장된 것은 초기 시스템 효율 48 [Im/W], 수명 15,000시간에 달하는 23W급 제품이 상품화되어 있어서 백열전구 대신 사용할 수 있다.

무전극 램프의 장점 / 단점
①장 점
• 획기적 에너지 절감 (기존 방전등 대비 35% 이상 절전)
• 장수명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절감 (실수명 60,000h)
• 80~90Ra의 높은 연색성
• 기존 방전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의 수은 함유고주파 구동으로 깜빡임이 없고 면광원으로 휘도가 낮아 편안한 빛 연출
• 낮은 발열량으로 냉방효율 증대 및 화재 방지
• 즉시 점등 및 재점등 가능...
② 단점
• 방전등 대비 비교적 높은 가격.
• 타 광원의 등기구에 호환이 어려움

2) 응용분야 및 시장전망
무전극 램프는 고효율 (약 80m/W)과 고 연색성을 가진 광원으로 순시 점소등이 용이하고 수명이 길어 기존의 수은, 나트륨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의 대체용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. 따라서 보안등, 가로등, 공원등 외 기타 옥외 조명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, 장수명으로 인해 또한 즉시 재점 등이 가능하여 전력 사고 후의 복구 시에 즉시 점등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. 접근이 어려운 위험/고소 지역에 설치하여 유지보수에 의한 발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.
이동현 / 조명디자인 기본서 / 2012 / P75
'led 조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명 (빛과 색채 심리) (0) | 2021.11.30 |
---|---|
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(0) | 2021.11.29 |
고압 나트륨 램프 (0) | 2021.11.27 |
저압 나트륨 램프 (0) | 2021.11.26 |
고압 수은 램프 / 메탈할라이드 램프 (0) | 2021.11.25 |
댓글